문법을 처음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보길 권한다.
학교 문법 이론을 비교적 충실하게 담고 있고
편집이 잘 되어 있어 보기에도 편하다.
특히 의미론, 국어사 부분은
기본서답지 않게 심화되어 있는 점도 괜찮음~~~
탐구문제 해답이 제시되지 않은 점이 아쉽지만
혼자 실력을 파악하기에도 좋음~
국어교사 및 예비 국어교사들을 위한 현행 학교 문법의 내용을 쉽고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책. 언어와 국어의 본질, 국어의 구조와 역사, 국어 생활과 문화 등을 학교 문법의 관점과 기술 태도에 따라 가능한 한 일관된 태도로 쉽게 풀이하는 데 중점 두었다. 필요에 따라서는 대립되는 관점을 가진 학설을 제시하거나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해, 독자가 언어 탐구의 방법을 스스로 모색하고 그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문법 교육에 대한 안목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현행 교육 과정과 교과서, 국어교육학계의 최근 논의 등을 바탕으로 문법의 교육적 가치,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의 방법과 평가, 교과서의 단원 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1장 총론
1. 언어관과 언어 탐구의 보람
2. 학교 문법의 뜻과 용어
3. 학교 문법의 성격
4. 학교 문법의 흐름
2장 언어와 국어
1. 언어의 본질
2. 언어와 인간
3. 국어의 특질
4. 한글
3장 음운
1. 음운과 음운 체계
2. 음운의 변동
4장 형태론
1. 형태소와 단어
2. 단어의 형성
3. 품사
5장 어휘
1. 어휘의 개념과 분류
2. 어휘의 양상
6장 문장
1. 문장의 성분
2. 문장의 짜임
3. 문법 요소
7장 의미
1. 언어의 의미
2. 단어의 의미 관계
3. 의미의 확장
4. 문장의 의미
8장 이야기
1. 이야기의 개념
2. 이야기의 요소
3. 이야기의 구조
9장 중세국어문법
1. 문자와 말소리
2. 단어
3. 문장
4. 이야기
10장 국어의 변화
1. 국어사의 자료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3. 음운의 변화
4. 문법의 변화
5. 어휘의 변화
6. 의미의 변화
11장 국어의 규범
1. 표준어와 표준 발음
2. 한글 맞춤법
3.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2장 국어생활과 문화
1. 국어와 우리의 삶
2. 국어생활의 실천
13장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2. 문법 교육의 내용
14장 문법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1.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2. 문법의 평가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