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말해 봐, 들어 줄게

apjio 2020. 12. 21. 23:30

말해 봐, 들어 줄게

알뱅은 새롭게 전학간 곳에서 친구가 없어 외롭다. 그런 알뱅의 생일날 부모님은 고양이 한 마리를 선물한다. 마치 판다곰처럼 생겼다 하여 판다란 이름을 붙인 고양이를 통해, 알뱅은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된다. 고양이 팬다가 가르랑거리면 알뱅 안에 있는 슬픔이 봄눈 녹듯 사라져버리는 것. 그래서 알뱅은 고양이의 가르랑거림 안에는 그런 놀라운 힘이 있다 믿는다. 학교에서 유일하게 말을 걸어주는 친구인 레안에게서 알뱅은 문득문득 슬픈 눈빛을 발견하게 되고, 레안의 엄마는 하늘나라에 있음을 알게 된다. 그 후 알뱅은 고양이 판다가 자신의 슬픔을 사라지게 하듯 레안의 슬픔을 사라지게 만들기 위해, 고양이의 ‘가르랑거림’을 배우려 한다. 아무리 해도 ‘가르랑거림’을 배울 수 없자, 이젠 고양이와 같아지려는 방법을 택한다. 그래서 고양이의 행동들을 따라해 본다. 고양이처럼 웅크리고 자기도 하고, 고양이 먹이를 입으로만 먹어보기도 하며, 우유를 핥아 먹어 보기도 한다. 과연 알뱅은 ‘위로의 힘’인 ‘가르랑거림’을 익힐 수 있을까? 먼저, 이 동화를 읽으며 든 생각은 알뱅이란 친구가 참 순수하고 귀엽다는 생각이다. 자신의 경험을 통해, 고양이의 ‘가르랑거림’이야말로 누군가를 위로하는 힘이라 믿는다. 그래서 친구를 위로하기 위해 ‘가르랑거림’을 익히려는 노력이 참 예쁘다. 누군가를 위로하기 위해 이처럼 순수한 마음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아이들만이 가질 수 있는 능력이 아닐까? 이 순수함에 웃음 짓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알뱅은 깨닫게 된다. 무엇보다 알뱅이 깨달은 진리는 사람은 사람다워야 한다는 것. 그럴 때, 가장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야말로 가장 나다운 모습이며, 멋진 모습이라는 깨달음. 이 깨달음이 오늘 우리들에게도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쩌면 오늘 우리들은 모두 알뱅처럼 누군가를 흉내 내며 닮아가려 애쓰는 모습은 아닐까? 그래서 도리어 개성을 잃어버린 모습, 너도 나도 같아져 버린 웃픈 모습으로 변해가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알뱅이 레안의 슬픔을 달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알뱅은 레안에게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 레안에게 하지 못했던 말들을 편지로 적어본다. 그리고 그 다음은... 동화는 여기에서 끝나지만, 책 제목 『말해봐, 들어 줄게』에서 알 수 있듯이 레안도 자신 안에 감춰진 이야기들을 알뱅에게 하지 않았을까? 오늘 우리 역시 이처럼 누군가와 진심으로 소통할 수 있다면, 이것이야말로 위로의 힘, 진정한 ‘가르랑거림’이 아닐까? 이 소통이 우리 공간 속에 가득하게 되길...

알뱅은 여름방학에 시골로 이사하면서 전학을 갔어요. 하지만 수업 시간에도 쉬는 시간에도 늘 혼자이지요. 아이들은 오래전부터 서로 친해서 알뱅에게는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여덟 살 생일이 되어 알뱅은 엄마 아빠에게 고양이를 선물받았어요. 고양이 판다가 가르랑거리면 외로움과 슬픔이 사라지는 것만 같았지요.
어느 날, 알뱅은 자신에게 먼저 다가와 준 소중한 친구 레안과 이야기를 하다가 레안의 엄마가 돌아가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그리고 판다가 가르랑거릴 때 자기가 느꼈던 것처럼 레안을 위로해 주고 싶어 ‘고양이 흉내 내기 실험’을 시작한답니다. 침대를 바구니 안처럼 만들어 웅크려 자고, 우유를 핥아먹고, 유연성을 기르는 운동까지! 알뱅은 고양이처럼 가르랑거릴 수 있을까요? 그래서 레안을 위로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