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의 핵심 개념들
![]()
사회학의 수많은 핵심 개념들을 쏙쏙 뽑아서 알기 쉽게 설명해놨어요.10가지 주제에 따라 정리되어 있어 이해하기에 더욱더 도움이 되었어요.백과사전처럼 정의 한 두줄로 정리한 점이 마음에 들어요.핵심 개념이 어디에서 시작 되었는지,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 비판적 쟁점은 무엇이며, 현재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맥락과 배경까지 서술되어 있어 좋았어요.
왜 개념인가?
:10개의 주제, 70개의 핵심 개념으로 파악하는 현대사회학의 지형과 흐름
본디 19세기의 산물인 사회학은 정체되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변화하지 않으면 적절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오늘날 사회학은 이론적으로 다양하고,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며,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격변하고 있는 지금 사회세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사회학의 본질상 불가피한 귀결이며, 또한 우리에게 친숙한 개념들의 재평가와 새로운 개념들의 창출이 요구된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7쪽)
사회학은 그 태생부터 변동의 산물이며, 따라서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는 현대사회를 다루는 사회학이라는 학문 분야의 전모를 파악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사회학 입문서 현대사회학 을 집필한 앤서니 기든스와 필립 W. 서튼은 지난 150여 년간 사회학의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했던 사회학의 핵심 개념 70개를 선별했다. 그리고 이것을 총 10개의 주요 주제 속에 배치해 현대사회학의 전반적 지형 속에 이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모했다. 사회학에서 개념은 이론과 경험적 연구의 발전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에서 시작되기도, 여타 분야의 개념이 스며들기도, 특정 연구 주제를 위해 고안되었다가 일상생활로 내려가기도 한다. 때문에 이 개념들의 기원과 현재의 용법을 이해하는 것은 독자들이 사회학의 주제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들어가는 말
주제1 사회학적으로 생각하기(Thinking Sociologically)
구조/행위(structure/agency)
근대성(modernity)
담론(談論, discourse)
사회(society)
지구화(globalization)
탈근대성(postmodernity)
합리화(rationalization)
주제2 사회학 연구하기(Doing Sociology)
과학(science)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성찰성(省察性, reflexivity)
실재론(實在論, realism)
이념형(理想型, ideal type)
질적/양적 방법(qualitative/quantitative methods)
주제3 환경과 도시성(Environment and Urbanism)
도시성(urbanism)
산업화(industrialization)
소외(疏外, alienation)
위험(risk)
이주(migration)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환경(environment)
주제4 사회의 구조(Structures of Society)
관료제(bureaucracy)
교육(education)
분업(division of labour)
소비주의(consumerism)
자본주의(capitalism)
조직(organization)
종교(religion)
주제5 불평등한 생활기회(Unequal Life Chances)
가부장제(patriarchy)
계급(class)
빈곤(poverty)
사회이동(social mobility)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
‘인종’과 민족집단(‘race’ and ethnicity)
젠더(gender)
지위(status)
주제6 관계와 생애과정(Relationship and the Life Course)
가족(family)
공동체(community)
사회화(socialization)
생애과정(life course)
섹슈얼리티(sexuality)
연결망(network)
주제7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공론장(public sphere)
매스미디어(mass media)
문화(culture)
상호작용(interaction)
이데올로기(ideology)
정체성(identity)
주제8 건강, 질병, 신체(Health, Illness and the Body)
사회적 자아(social self)
생의학(生醫學, biomedicine)
오명(汚名, stigma)
의료화(medicalization)
장애의 사회적 모델(social model of disability)
환자 역할(sick role)
주제9 범죄와 사회통제(Crime and Social Control)
낙인(烙印, labelling)
도덕적 공황(moral panic)
사회통제(social control)
아노미(anomie)
일탈(deviance)
회복적 사법(restorative justice)
주제10 정치사회학(Political Sociology)
갈등(conflict)
권력(power)
권위(authority)
민족국가(nation state)
민주주의(democracy)
사회운동(social movement)
시민권(citizenship)
시민사회(civil society)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